Red Hat Certified System Administrator(RHCSA EX200) 후기
오늘 드디어 RHCSA(Red Hat Certified System Administrator) 시험에 합격했습니다. 한 달여간의 준비 과정과 시험 경험을 공유합니다.
시험 준비 목적
Debian 계열만 사용해본 엔지니어로서 Red Hat 계열 엔터프라이즈 리눅스를 배우는 게 너무 즐거웠습니다. 체계적으로 정리하며 공부하고 싶었고, 확실한 목표를 통해 학습 의욕을 끌어올리고 싶었습니다.
학습 과정
2025년 3월 24일부터 4월 18일까지 약 한 달간 학원에서 리눅스 교육을 받았습니다.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관련 교재 3권을 가지고 기본 명령어부터 시작해 NTP, NFS, iSCSI 서비스 구축까지 폭넓게 배웠습니다. 강사님을 통해 RHCSA 시험에 대한 정보를 알게 되었고, 매일 수업 후 실습 파일로 그날 배운 내용을 꼼꼼히 복습했습니다.(한번도 빼놓지 않고 복습함) 4월 마지막 주부터는 시험 덤프를 집중적으로 보면서 실전 감각을 익혔고, 리눅스를 이용한 서버 구축 프로젝트도 5일간 진행했습니다. 한 달간 집중적으로 리눅스를 사용하면서 다양한 트러블슈팅 경험을 쌓았는데, 이런 과정들이 RHCSA 시험 준비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었습니다.
시험 예약 과정
시험 예약은 생각보다 복잡했습니다. 타임라인을 정리해보면:
- 4월 20일 오후 11시: Red Hat에 카드 결제 요청 전송
- 4월 21일 오전 10시: 시험 신청 양식 수신
- 4월 21일 오후 5시: 시험 신청 양식 작성 후 회신, 솔데스크로 전송됨
- 4월 22일 오후 4시: 솔데스크에서 결제 링크 회신 받음
- 4월 22일 오후 5시: 바우처 결제 완료
- 4월 23일 오후 6시: Red Hat 바우처 등록 메일 수신
- 4월 24일 오후 1시: 5월 13일 시험 예약
- 5월 2일 오전 8시: 5월 7일로 시험 일정 변경
시험은 Kiosk 방식과 온라인 방식이 있는데, 강사님의 추천으로 시험 환경이 제공되는 Kiosk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연휴가 많은 시기라 원하는 날짜에 예약하기가 쉽지 않았지만, 공석이 생길 때마다 모니터링하며 일정을 조정했습니다.
시험 준비
학원에서는 이미 리눅스 과정이 끝나고 앤서블 수업이 진행 중이었기 때문에 RHCSA 공부에 집중할 시간이 많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전에 충분한 연습을 했었기에, 시험 전날에는 덤프를 다시 한번 훑어보며 직접 답변을 작성해보았습니다. 시험 당일 오전까지 작성한 답변을 보면서 이미지 트레이닝을 했습니다.
시험 당일
실습 자격증 시험을 처음 보는 터라 환경이 어색했습니다. 인터넷에서 시험 후기를 많이 찾아봤지만, 실제로 시험을 시작하고 나서 약 20분간 헤맸습니다. 찾아본 대로 sshd_config 설정은 미리 변경해두었고 sshd를 재시작한 후 SSH 접속을 시도했는데, 계속 ‘no route’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알고 보니 네트워크 설정 변경 문제를 먼저 풀고 호스트 터미널에서 SSH 접속을 해야 했던 거였습니다. 이 문제로 20분을 소비했지만, 시험 시간이 충분했기 때문에 크게 조급해하지 않았습니다. 준비한 내용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문제들이었기 때문에 무난하게 통과할 수 있었습니다.
도움이 되었던 점
학원에서 먼저 시험을 본 친구의 후기가 많은 도움이 되어 크게 당황하지 않고 시험을 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 루트 패스워드 복구 시 init=/bin/bash 방식 사용
- fdisk 대신 gdisk 사용
- partprobe
그럼에도 두 가지는 헤맸습니다:
- bzip2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압축이 되지 않는 문제
- podman을 사용자로 로그인 후 생성해야 하는 부분
시험으로 얻게 된 것
실무적 리눅스 관리 능력
가장 큰 수확은 리눅스 시스템을 실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 점입니다. 학원에서 배운 이론적인 내용이 실제 시험 환경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경험하면서, 시스템 관리자로서 필요한 실질적인 기술을 습득했습니다. 특히 트러블슈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체계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었습니다.
문제 해결 능력과 자신감
시험 당일 SSH 연결 문제로 20분을 헤맸지만, 침착하게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었던 경험이 가장 값집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신감을 얻었습니다. 실제 업무 환경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겼다고 느낍니다.
체계적인 학습 방법
한 달이라는 제한된 시간 내에 RHCSA 시험을 준비하면서, 효율적인 학습 방법을 터득했습니다. 매일 수업 후 그날 배운 내용을 실습 파일로 복습하고, 시험 전날 집중적으로 덤프를 보며 이미지 트레이닝을 하는 방식이 매우 효과적이었습니다.
리눅스 생태계에 대한 이해
시험 준비 과정에서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부터 NTP, NFS, iSCSI 등 다양한 서비스 구축까지 폭넓게 학습하면서, 리눅스 생태계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이러한 지식은 단순히 시험을 위한 것이 아니라, 실제 IT 환경에서 리눅스 시스템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기반이 될 것입니다.
다음 단계를 위한 발판
RHCSA 자격증 취득은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지만, RHCE 등 더 높은 수준의 자격증과 경력 개발을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되었습니다. 이번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과 자신감을 바탕으로 리눅스 전문가로서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다는 확신이 생겼습니다.
마무리
온라인에 귀중한 덤프 자료를 공유해주신 많은 선생님들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열과 성을 다해 리눅스를 가르쳐주시고 RHCSA 시험을 볼 수 있게 도와주신 학원 강사님께 무한한 감사를 드립니다. 사실 덤프만으로 자격증 시험을 준비한다면 의미가 없을 수 있습니다. 저는 덤프를 그저 방향성을 제시해준 가이드로 활용했습니다. 실제로 한 달간의 체계적인 학습과 매일의 실습, 다양한 트러블슈팅 경험이 있었기에 이 자격증이 단순한 종이 한 장이 아닌 실력 향상의 증거가 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시험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얻은 지식과 문제 해결 능력, 자신감이 앞으로의 학습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하며, 후기 마치겠습니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