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 개념 및 간단 요약
✅ 1. RAID란?
RAID는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의 줄임
한국어로 설명하면 “여러 개의 디스크를 묶어서 하나처럼 쓰는 기술” 입니다.
왜 RAID 기술이 필요할까?
하드디스크(HDD 또는 SDD)는 하나씩 사용하면:
- 고장나면 데이터 손실 위험이 큼
- 속도가 느릴 수 있음
- 용량이 제한적임
그래서 여러 개의 디스크를 묶어서:
- 더 빠르게 만들고 (속도 개선)
- 더 안전하게 만들고 (복구 가능)
- 더 효율적으로 용량을 사용하는 것 (묶어서 대용량처럼 사용)
이것을 RAID 기술이 가능하게 해줍니다.
✅ 2. RAID 동작 방식은?
개념 | 설명 |
---|---|
스트라이핑 (Striping) | 데이터를 쪼개서 여러 디스크에 나눠 저장 → 속도↑ |
미러링 (Mirroring) | 데이터를 그대로 복사해서 다른 디스크에 저장 → 안전성↑ |
패리티 (Parity) | 데이터 일부를 계산식으로 만든 오류 복구 정보로 저장 → 복구 가능성↑, 용량 절약 |
✅ 3. RAID는 여러 종류가 있음
RAID | 설명 | 디스크 최소 수 | 특징 요약 |
---|---|---|---|
RAID 0 | 스트라이핑만 사용 | 2개 이상 | 속도 빠름, 복구 불가 |
RAID 1 | 미러링만 사용 | 2개 | 복제해서 안전, 용량 반토막 |
RAID 5 | 스트라이핑 + 패리티 | 3개 이상 | 빠르고, 안전하고, 효율적 |
RAID 6 | RAID 5보다 패리티 2개 | 4개 이상 | 디스크 2개까지 고장 가능 |
RAID 10 | RAID 1 + RAID 0 조합 | 4개 이상 | 속도+안정성↑, 용량 절반 |
✅ 4. 예시로 이해해보기
USB 1개 = RAID 안 씀 USB 여러 개를 묶어서 다음처럼 쓴다면:
- RAID 0: USB 2개에 A, B 나눠 저장 → 빠르지만 하나라도 고장나면 데이터 복구 불가
- RAID 1: USB 2개에 A, A 저장 → 복제니까 안전하지만 원래 용량의 절반만 쓰는 꼴
- RAID 5: USB 3개에 A, B, 체크값(P) 저장 → 하나가 고장 나도 계산해서 복구 가능
✅ 5. 실무에서 RAID가 사용되는 곳은?
분야 | 예시 |
---|---|
서버 | 웹서버, DB서버의 데이터 저장소 |
NAS 장비 | 회사 네트워크 저장소, 백업용 |
클라우드 | AWS EC2의 EBS RAID 구성 |
기업용 PC | 금융, 의료 등 고가용성 요구 환경 |
댓글남기기